반응형
🧩 Figma란?
- 웹 기반 UI/UX 디자인 툴입니다.
- 브라우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고, 협업, 프로토타이핑, 디자인 시스템 관리에 매우 특화되어 있어요.
- 디자이너뿐 아니라 기획자, 개발자도 함께 사용하는 팀 중심의 디자인 플랫폼입니다.
🤖 그런데 왜 AI랑 관련 있을까?
최근 Figma는 다음과 같은 AI 기능을 도입
AI 기능설명
자동 레이아웃 생성 | 텍스트 프롬프트로 기본 UI 레이아웃을 자동 생성 |
카피 제안 | 버튼, 타이틀, 설명 등 UX 글쓰기 자동 제안 |
이미지 자동 생성 | 텍스트 기반 이미지 or 아이콘 생성 기능 (플러그인 연동 포함) |
코드 생성 보조 | 디자인한 UI를 기준으로 HTML/CSS 코드 예시 제공 (플러그인 활용) |
특히 2024~2025년부터 Figma AI라는 이름으로 공식적인 생성형 AI 기능이 일부 테스트 및 확장 중입니다.
💡 요약하면:
항목설명
Figma의 본질 | 디자인 협업 도구 (AI가 아님) |
AI 기능 포함 여부 | 네, 최근엔 AI 기능 점점 탑재 중 |
대표 활용 방식 | UI 설계, 와이어프레임, 팀 협업, 프로토타입 제작 |
AI로서의 역할 | 디자인 생성, 자동 제안, 생산성 향상 지원 등 |
🎯 누가 쓰면 좋을까?
- 디자이너: 디자인 협업 및 UI 설계
- 기획자/PM: 와이어프레임, 화면 흐름 제작
- 개발자: 디자인 요소 확인 및 코드 연동
- 스타트업: 빠르게 MVP 설계 및 피드백 반복
🎯 Figma AI 기능 실전 활용 예시
✅ 예시 1. 텍스트로 UI 디자인 자동 생성하기
상황: 초기 화면 설계를 빠르게 시각화하고 싶은 기획자
명령어 예시 (Figma AI 프롬프트):
css
"Create a mobile app screen for a food delivery service. Include a top search bar, category icons, featured items, and a bottom navigation bar."
🔧 Figma AI가 이 요청을 바탕으로 레이아웃 박스, 텍스트, 아이콘 placeholder를 자동 배치한 와이어프레임을 생성해 줍니다.
활용 포인트:
- 빠른 스케치 대체
-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도 초기 틀 잡기 가능
- 반복되는 레이아웃 자동화 가능
✅ 예시 2. UX 문구 자동 생성 / 개선
상황: 버튼, 알림 메시지 등 UX Copy가 필요할 때
입력:
less
Suggest a better label for this button: “Next” Context: The user is completing a form to submit job application
출력 예시:
- “Submit Application”
- “Proceed to Review”
- “Final Step”
활용 포인트:
- 문맥에 맞는 UX Writing 제안
- 중복된 텍스트 피하고 자연스러운 흐름 유도
- A/B 테스트용 카피 뽑을 때 유용
✅ 예시 3. 프로토타입 흐름 설명 자동화
상황: 회의에서 흐름을 설명하기 어렵거나 문서화가 필요할 때
명령어 예시:
css
Generate a user flow description for this 3-screen prototype.
AI 출력:
“The user lands on the login screen. Upon entering credentials, they proceed to the dashboard. From there, tapping the 'Profile' icon navigates them to their personal settings screen.”
활용 포인트:
- 빠른 시나리오 설명용 텍스트
- 발표자료 / 제안서에 활용
- 개발자와 협업 시 유용
✅ 예시 4. 텍스트 기반 아이콘/이미지 생성 (플러그인 활용)
상황: 빠르게 콘셉트에 맞는 이미지가 필요할 때
플러그인 예시: Magician, Iconify, Image Generator AI
프롬프트 예시:
css
Generate an icon of a rocket launching, in a flat and minimal style.
출력: SVG 또는 벡터 아이콘 이미지 자동 생성
활용 포인트:
- 디자인 스타일에 맞는 일관된 아이콘
- 드래프트 속도 향상
- 이미지 검색보다 빠름
✅ 예시 5. 코드 스니펫 자동 제안
상황: 디자이너가 개발자에게 넘길 코드 스펙이 필요할 때
기능 예시:
- “Generate React code for this button”
- “Convert this card layout into TailwindCSS markup”
출력 예시:
jsx
<button className="bg-blue-500 text-white px-4 py-2 rounded-lg shadow-md"> Order Now </button>
활용 포인트:
- 디자이너–개발자 간 커뮤니케이션 간소화
- 반복되는 코드 베이스 자동화
- 코드 리뷰 속도 향상
🧠 요약
기능 영역활용 목적
🧱 UI 생성 | 텍스트 기반 레이아웃 제작 |
✍️ UX 문구 | 문장 추천 및 개선 |
🧭 플로우 요약 | 사용자 흐름 설명 자동화 |
🖼️ 이미지 생성 | 아이콘/벡터 자동 생성 (플러그인) |
💻 코드 보조 | 디자인 요소 기반 코드 스니펫 추출 |
반응형
'AI 도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I도구] Framer(프레이머) (0) | 2025.06.24 |
---|---|
[AI도구] 홈페이지 제작툴 안내 (2) | 2025.06.23 |
[AI도구] 텍스트 생성형 AI 비교 (0) | 2025.06.21 |
[AI도구] Gamma (감마) (0) | 2025.06.20 |
[AI도구] OBS 스튜디오 (0) | 2025.06.19 |